트라이(Trie)란 문자열을 저장하고 효율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트리 형태의 자료구조입니다. 트리 형태의 자료구조는 다음과 같은 그림으로 이루어집니다.
트리 구조는 기본적으로 Node(Root Node, Parent Node, Child Node), Edge, Terminal Node, Degree 등으로 이루어집니다.
Root Node : 트리 구조에서 최상위에 존재하는 A와 같은 노드입니다.
Parent Node : 예를 들어 E, F의 Parent Node는 B입니다.
Child Node : 예를 들어 B의 Child Node는 E, F입니다
Edge : Node와 Node를 연결하는 선입니다.
Terminal Node : Child Node가 없는 노드입니다. 위 그림에서는 K, L, F, G, M, I, J입니다.
Degree : Child Node를 가지고 있는 수 입니다. 위 그림에서 D의 Degree는 3입니다.
사용목적
주로 문자열 탐색할 때 사용되는데 단순하게 하나씩 비교하면서 탐색을 하는 것보다 효율적입니다. 하지만 각 노드에서 다음 노드를 가리키고 있는 노드의 주소를 저장하는 포인터 배열이 필요합니다. 즉, 노드 개수만큼 필요한 포인터 배열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사용 예) 검색어 자동완성, 사전에서 문자열 검사 등.
시간복잡도
트라이 알고리즘을 만들 때 시간복잡도는 O(M*N)이고, 탐색할때 시간복잡도는 O(N)입니다.
총 문자열의 수를 M, 제일 긴 문자열의 길이를 N이라고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문자열 배열이 있다면 모든 문자열을 넣어야 하니 M개의 트라이 자료구조에 넣고, 긴 문자열만큼 걸리니까 N만큼 걸립니다.
탐색할 때는 트리를 타고 들어가봤자 긴 문자열의 길이만큼 탐색하기 때문에 O(N)이 됩니다.
trie = ["Joe", "John", "Johnny", "Jane", "Jack"]
Trie 알고리즘 관련 문제 구현
예제: 프로그래머스 2018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3]차 자동완성 문제
사용언어 : python3
trie = ["word", "war", "warrior", "world"]
단어를 찾을 때 입력해야 할 총 문자 수를 리턴해야합니다.
word
는word
까지 모두 입력해야 합니다. (입력할 총 문자 수 4)war
는war
까지 모두 입력해야 합니다. (입력할 총 문자 수 3)warrior
는warr
까지만 입력하면 됩니다. (war단어와 구분되어야 합니다. 입력할 총 문자 수 4)world
는worl
까지만 입력하면 됩니다. (word단어와 구분되어야 합니다. 입력할 총 문자 수 4)
각 단어의 입력할 총 문자 수를 다 더하면 15를 리턴하게 됩니다.
문제에서 입출력 예제인 위 배열로 트라이 알고리즘을 그려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구현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구현 코드
def make_trie(words):
root = {}
for word in words:
current = root
for letter in word:
current.setdefault(letter, [0, {}])
current[letter][0] += 1
current = current[letter][1]
return root
def solution(words):
answer = 0
trie = make_trie(words)
for word in words:
cur_Trie = trie
for i in range(len(word)):
if cur_Trie[word[i]][0] == 1 :
break
cur_Trie = cur_Trie[word[i]][1]
answer += i+1
return answer
- Trie를 dictionary 구조로 만듭니다.
- python의 setdefault함수를 사용해서 문자열 수만큼 for문을 돌고, 각 문자열의 길이만큼 for문을 돌면서 dictionary 에 삽입합니다.
- 삽입하는 내용은 각 문자와 문자에 방문한 카운트를 1씩 증가시킵니다. 만들어진 트라이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핵심)
python의 dictionary setdefault(keyname, value) 함수는 지정된 키가 있는 항목의 값을 반환하고, 키가 없는 경우 지정된 값으로 키를 삽입합니다.
# make_trie의 구조
{
'w': [4, {'a': [2, {'r': [2, {'r': [1, {'i': [1, {'o': [1, {'r': [1, {}]}]}]}]}]}], 'o': [2, {'r': [2, {'d': [1, {}], 'l': [1, {'d': [1, {}]}]}]}]}]
}
- 그다음에 만들어진 make_trie 함수에서 단어를 찾을 때 입력해야 할 총 문자의 수를 찾습니다.
구현 코드 중 아래 코드 부분이 트라이에서 각 문자열을 for문으로 돌면서 문자ㄷ열을 만들기 위해 입력해야 할 총 문자의 수를 찾는 부분입니다.
for i in range(len(word)):
if cur_Trie[word[i]][0] == 1 :
break
cur_Trie = cur_Trie[word[i]][1]
answer += i+1
- 1이 나오면 이 문자는 더이상 찾지 않아도 문자열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더이상 다른 단어와 중복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 예를 들어
warrior
를 for문으로 돌면서w, a, r, r, i, o, r
순서로 찾으면w = 4, a = 2, r = 2, r = 1, i = 1, o = 1, r = 1
의 수가 나옵니다.
warrior
은warr
까지만 찾으면warrior
를 완성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warr 단어에서 4번째 있는 r의 카운트가 1이기 때문에 다른 단어와 중복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 다른 예로
word
는word
끝까지 찾아야 합니다. 그 이유는world
문자열과wor
까지 중복되기 때문에world
의 문자와 구분해주기 위해서word
4개의 문자를 입력해야 합니다. -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4 + 3 + 4 + 4 = 15)
// 최소 입력 받아야 할 문자 수
'word' = 4
'war' = 3
'warrior' = 4
'world' = 4